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활동보조9

활동보조와 자기결정 삶과 관련된 모든 일을 다른 사람의 강요 없이 자신의 의지에 따라 선택하고 결정하는 것이다. 자신의 일상을 스스로 결정하는 것은 삶의 질을 보장하기 위한 기본적인 요구이며 욕구의 표현이다 1. 활동보조와 자기 결정 모든 사람은 소소한 일상이나 중요한 삶의 문제를 스스로 결정할 권리와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는 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에게 적용되는 기본적인 권리이며 장애가 있다는 이유로 예외가 될 수 없다 일상생활을 유지하는데 다른 사람의 지원이 필요한 장애인의 경우 타인의 간섭을 받기가 쉽다. 그러나 장애인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간섭이나 개입을 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활동지원사는 이러한 문제나 한계를 인식하고 활동보조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장애인 특히 발달장애인이 일상에서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할 수.. 2021. 10. 2.
자폐성장애특징과 활동보조방법 자폐성 장애는 언어와 인지, 행동면에서 연령에 맞는 발달이 이뤄지지 못하고 통상 범주에서 벗어난 왜곡된 발달 양상을 보이는 경우를 말한다. 1. 특징 : 자폐성 장애는 원인이 확실치 않으며 여러 요인들이 관여하는 하나의 증후군으로 알려져 있다 1) 개인의 능력에 따라 의사소통 능력이 상당한 차이가 있다. 2) 주변 사람들과 감정 교류를 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다 3) 심리적으로 열등감, 불안 증세, 과민반응, 우울 등이 나타나기도 하며 집중하는 시간이 짧아 학습능력이 떨어지고 돌발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4) 강박적으로 변화를 싫어해서 행동이나 관심의 폭이 극도로 제한되어 특정 사물이나 생물에 집착하는 경우도 많다. 또, 사소한 변화를 참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2. 활동보조 방법 1) 대인관계와 의사소통.. 2021. 9. 12.
[활동지원사] 식사지원 (비경구섭취) 삼키기 기능이 어려운 이용자를 대상으로 구강과 식도가 아닌 다른 경로로 음식물을 위에 도달하게 하는 방법으로 대표적인 비경구 섭취로는 비위관(코를 통해 위로 음식물을 연결하는 관) 사용이 있다. 1. 준비물 - 영양주머니,컵,물,일회용장갑,주사기.처방된 영양액 2. 방법 - 이용자에게 위관영양의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 손을 씻는다 - 준비된 음식을 따뜻하게 데운다 - 이용자를 앉히거나 침상머리를 올린다 - 영양주머니에 처방된 양만큼 음식을 채운다 - 주사기로 내용물을 흡인하여 튜브의 위치를 확인하고 동시에 위 안에 남아있는 음식양을 확인한다. 잔류량이 많으면 의료인에게 알려야 하고 흡인한 내용물은 체액과 전해질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다시 주입한다 - 튜브의 끝을 막고 주사기를 연결한후 물 20~30c.. 2021. 8. 11.
[활동지원사] 기저귀 사용 용변 지원 요의나 변의를 느끼지 못하거나 표현할 수 없고, 자력으로 움직이기 곤란한 이용자의 경우 시간마다 요변 여부를 확인하여 용변 지원을 해야 하지만, 침구나 속옷 등의 잦은 교체를 피하기 위해 보조적으로 기저귀를 활용할 수 있다. 1. 준비물 - 기저귀, 일회용 장갑, 커튼, 화장지, 따뜻한 물, 방향제, 휴지통, 마른 수건, 물티슈, 면 덮개 2. 방법 - 일회용 장갑을 착용한다 - 커튼을 친다 - 면 덮개를 이불 위에 덮은 후 이불은 다리 아래로 접어 내린다 - 면 덮개 아래 있는 윗옷을 허리까지 까지 올리고 바지를 내린다 - 기저귀의 배설물을 안으로 말아 넣는다 - 이용자를 옆으로 눕혀 기저귀를 뺀다 - 회음부, 둔부 및 항문부위를 따뜻한 물티슈로 닦아낸다 - 마른 수건으로 물기를 닦는다 - 둔부 주변부.. 2021. 8. 9.
[활동지원사] 침대에서 용변 지원 방법 1. 준비물 - 일회용 장갑, 수건, 화장지, 물티슈, 커튼, 휴지통, 방향제, 배변기, 손 씻을 물 2. 방법 - 이용자에게 절차를 설명한 후 커튼으로 주위를 가린다. - 일회용 장갑을 낀다. - 따뜻한 물로 데ㅇ운변기를 침대 옆이나 의자 위에 놓는다 - 변기바닥에 화장지를 깔고 음악이나 TV를 켜 용변 소리가 나는 것을 방지한다. - 이용자를 눕힌 상태로 무릎을 세우고 발에 힘을 주어 왼손으로 이용자의 허리를 가볍게 들어 올려 둔부 밑에 방수포를 깐다 - 허리 아래를 무릎덮개로 가린 후 바지를 내린다. 허리 밑에 왼손을 넣어 이용자가 둔부를 들도록 하고, 오른손으로 변기를 밀어 넣은 후 항문이 변기 중앙에 오도록 한다. - 이용자가 협조할 수 없으면 옆으로 돌려 눕히고 둔부에 변기를 댄 후 변기 위로.. 2021. 8. 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