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애인활동지원 및 체험

[활동지원사] 식사지원 (비경구섭취)

by 살면서 얻은 모든 지식 2021. 8. 11.
반응형

삼키기 기능이 어려운 이용자를 대상으로 구강과 식도가 아닌 다른 경로로 음식물을 위에 도달하게 하는 방법으로 대표적인 비경구 섭취로는 비위관(코를 통해 위로 음식물을 연결하는 관) 사용이 있다.

 

1. 준비물

- 영양주머니,컵,물,일회용장갑,주사기.처방된 영양액

 

2. 방법

- 이용자에게 위관영양의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 손을 씻는다

- 준비된 음식을 따뜻하게 데운다

- 이용자를 앉히거나 침상머리를 올린다

- 영양주머니에 처방된 양만큼 음식을 채운다

- 주사기로 내용물을 흡인하여 튜브의 위치를 확인하고 동시에 위 안에 남아있는 음식양을 확인한다. 잔류량이 많으면 의료인에게 알려야 하고 흡인한 내용물은 체액과 전해질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다시 주입한다

- 튜브의 끝을 막고 주사기를 연결한후 물 20~30cc를 넣고 약 30cm 높이에서 천천히 주입되도록 한다

- 비위관의 끝을 막고 영양 주머니 연결관과 연결한다

- 적당한 속도를 유지하도록 주입 조절기를 조절한다

- 주입이 마무리될 즈음 30~60cc 정도의 물을 주입해 튜브의 막힘과 남아있는 영양물에 의한 부패를 방지한다

- 튜브를 잠근 후 30분 정도 앉아있게 한다

- 필요시 섭취량을 조절한다

 

3. 유의할 점

- 식사 시작과 끝날 때 반드시 이용자에게 알려주어야 한다

- 영양 주머니는 매번 깨끗이 세척하여 건조한 후 사용한다

- 비위관을 정확히 고정하여 빠지지 않도록 한다

- 비위관을 통해 식사 중이거나 식사 후에는 비위관이 새거나 역류되지 않도록 튜브 개폐 여부를 확인한다

- 비위관이 빠졌을 경우 바로 의료인에게 알려야 한다

- 비위관을 사용하는 이용자는 구강관리에도 신경 써야 하므로 입안의 건조와 갈증을 예방하고 입술에는 입술보호제를 발라준다

- 영양식의 유효일자를 확인한다

- 비위관을 사용한 음식물의 섭취는 기도흡인, 발열, 복통, 오심, 변비, 설사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며 이런 증세가 발생할 경우 주입 속도를 천천히 하고 하루 5회 이상 변을 볼 때는 전문가나 관계자에게 알려야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