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활동보조9 [활동지원사] 용변 지원 용변 지원은 이용자들이 수치스러움이나 정서적 불편을 느끼지 않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활동지원사는 이용자의 용변 의사표현을 알고 있어야 하고, 이용자 혼자 용변처리를 얼마나 할 수 있는지 파악해야 한다. 또 필요한 경우 용변 상태를 관찰하여 전문가나 관계자에게 알려야한다. 유의사항 1. 용변 전 - 용변 의사 표현 유무를 관찰 - 안절부절못하지 못하거나 허리를 들썩이는 등의 행동 관찰 필요 - 용변 의사표현을 하지 않거나 못하는 이용자의 경우 용변 간격도 파악해야 한다 2. 용변 중 - 배뇨나 배변을 위한 운동능력이나 보조용품의 사용능력이 있는지 파악해야 한다 - 용변 중 통증, 불편을 호소하는지 확인한다 - 요나 변의 배변 상태를 관찰한다 3. 용변 후 - 용변의 색깔 변화나 혼탁 유무를 살피고,.. 2021. 8. 8. 발달장애인 활동보조 시 기본적인 지원방법 1. 발달장애인 유형별 의사소통 시 고려할 점 1) 지적장애 - 미리 이용자의 지적 수준을 파악(판단)하여 어느 정도 이해했는지 확인해야 한다. - 대화 주제는 한 번에 한 가지만 한다. - 구체적인 단어를 사용한다. - 이용자의 말을 기다릴 준비가 되어야 하고 이용자가 말을 할 땐 주의 깊게 들어야 한다 - 응답을 들어야 할 때는 선택의 폭을 좁혀 질문한다. - 사진, 그림 등의 자료를 활용한다. 2) 자폐성 장애 - 비언어적 행동을 해석할 수 있도록 노려한다 - 복잡하고 어려운 문장을 사용하지 않는다 - 의사소통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짧고 간단한 대화를 한다. - 그림이나 사진 등을 활용한다 - 항상 인내심을 가져야 한다 2. 활동보조 시 기본적인 지원방법 - 쉬운 말로 설명한다 : 이용자가 알고 있.. 2021. 7. 31. 지체장애인 식사체험 식사 체험을 통해 이용자의 입장을 이해하고 식사지원 서비스에 대한 더 효과적인 지원방법을 차즌다 1. 준비물 음식(도시락 등), 수저, 물컵, 앞치마, 손을 묶을 수 있는 끈 2. 진행방법 - 2인 1 조구 성 : 이용자는 양손을 묶인 상태에서 식사지원 서비스를 받고, 화동지원산 이용자에게 식사지원서비스를 제공한다. - 양쪽의 입장을 모두 이해하기 위해 교대로 각각의 역할을 체험한다. 3. 체험 후 효과적인 식사지원서비스를 찾기 위해 회의를 한다. 4. 유의사항 - 준비할 음식은 메뉴가 다양하게 준비한다 ( 좋아하는 음식과 싫어하는 음식이 모두 담겨야 한다.) - 체험 후 토론 및 발표를 통해 참가자가 찾아낸 활동보조 방법을 발표하고 강사는 이에 대해 지도한다. - 각자 식사습관이 다름을 이해하고 이용자.. 2021. 7. 30. 시각장애인 보행 체험하는 법 시각장애인 보행체험을 함으로써 시각장애인에 대한 지원방법을 강구하고, 시각 장애인의 일상생활을 이해할 수 있다. 사전 준비물로 눈가리개와 케인(시각장애인 흰 지팡이)을 준비한다. \1 1. 진행방법 1) 역할 : 2인 1조 활동지 원사: 시각장애인 보행 안내법으로 보조한다. 지원자: 눈가리개를 하고 손에 케인을 쥔다. 2) 시각장애인 역할을 하는 사람이 눈을 가리면 방향감각을 유지하지 못하도록 그 자리에서 자유롭게 맴돌게 한다.(코끼리코도 좋은 방법이다) 3) 교대로 각각의 역할 체험을 한다. 2. 시각장애인 지원방법 강구 체험 후엔 토의를 통해 시각장애인의 어려움을 이해하며 바람직한 활동 지원방법을 강구한다. 3. 유의사항 1) 시각장애인의 실생활을 경험하는 만큼 경건한 마음으로 임한다 2) 안전사고의.. 2021. 7. 29.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