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80

심폐소생술 간단 정리 심폐소생술의 중요성 - 심정지 발생 후 4분 정도 경과하면 뇌손상이 발생하는데 심정지를 목격한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작하면 뇌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경우가 시행하지 않은 경우보다 약 2배 이상 높은 생존율을 보인다. 심폐소생술 간단 요점 정리 심정지 확인: 무반응, 무호흡 or 심정지 호흡 심폐소생술 순서: 가슴압박-> 기도유지-> 인공호흡 가슴압박 중단: 최소화해야 한다( 중단이 불가피할 경우 10초 이내로) 기도유지: 머리 젖히고 턱 들기 가슴압박 속도: 분당 100회 이상 120회 이하 가슴압박 깊이: 성인-5~6cm,소아-가슴 깊이의 1/3 (5cm정도),영아- 가슴깊이의 1/3 (4cm 정도)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지 않았거나 할 수 없는 일반인 구조자는 인공호흡하지 않아.. 2021. 8. 2.
발달장애인 활동보조 시 기본적인 지원방법 1. 발달장애인 유형별 의사소통 시 고려할 점 1) 지적장애 - 미리 이용자의 지적 수준을 파악(판단)하여 어느 정도 이해했는지 확인해야 한다. - 대화 주제는 한 번에 한 가지만 한다. - 구체적인 단어를 사용한다. - 이용자의 말을 기다릴 준비가 되어야 하고 이용자가 말을 할 땐 주의 깊게 들어야 한다 - 응답을 들어야 할 때는 선택의 폭을 좁혀 질문한다. - 사진, 그림 등의 자료를 활용한다. 2) 자폐성 장애 - 비언어적 행동을 해석할 수 있도록 노려한다 - 복잡하고 어려운 문장을 사용하지 않는다 - 의사소통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짧고 간단한 대화를 한다. - 그림이나 사진 등을 활용한다 - 항상 인내심을 가져야 한다 2. 활동보조 시 기본적인 지원방법 - 쉬운 말로 설명한다 : 이용자가 알고 있.. 2021. 7. 31.
청각장애인 무음영상체험 같은 영상을 소리 들으면서, 소리를 듣지 않으면서 시청하고 소리 없이 살아간다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지원방법과 의사소통방법을 찾는다. 1. 준비물 영상(약 5~10분 분량으로 자막이 없어야 하고 소리가 많이 나오는 영상일수록 좋다) 2. 진행방법 1) 음소거를 한상태에서 준비된 영상물을 시청 2) 영상물 내용 추측해보기 3) 동일한 영상을 소리와 함께 다시 보면서 소리가 없을 때와 비교하기. 3. 체험 후 토론 소리 없이 영상을 시청하면 실제 영상의 내용을 얼마나 다르게 이해했는지에 대해 대화를 나누며 청각 자애인과의 의사소통방법과 효과적인 지원방법에 대해 토의한다. 4. 유의할 점 영상미에 몰입이 될 수 있는 액션 영화류는 피하고, 배우들 간의 대화가 많이 나오는 영상을 시청해야 한다. 2021. 7. 30.
지체장애인 식사체험 식사 체험을 통해 이용자의 입장을 이해하고 식사지원 서비스에 대한 더 효과적인 지원방법을 차즌다 1. 준비물 음식(도시락 등), 수저, 물컵, 앞치마, 손을 묶을 수 있는 끈 2. 진행방법 - 2인 1 조구 성 : 이용자는 양손을 묶인 상태에서 식사지원 서비스를 받고, 화동지원산 이용자에게 식사지원서비스를 제공한다. - 양쪽의 입장을 모두 이해하기 위해 교대로 각각의 역할을 체험한다. 3. 체험 후 효과적인 식사지원서비스를 찾기 위해 회의를 한다. 4. 유의사항 - 준비할 음식은 메뉴가 다양하게 준비한다 ( 좋아하는 음식과 싫어하는 음식이 모두 담겨야 한다.) - 체험 후 토론 및 발표를 통해 참가자가 찾아낸 활동보조 방법을 발표하고 강사는 이에 대해 지도한다. - 각자 식사습관이 다름을 이해하고 이용자.. 2021. 7. 30.
시각장애인 보행 체험하는 법 시각장애인 보행체험을 함으로써 시각장애인에 대한 지원방법을 강구하고, 시각 장애인의 일상생활을 이해할 수 있다. 사전 준비물로 눈가리개와 케인(시각장애인 흰 지팡이)을 준비한다. \1 1. 진행방법 1) 역할 : 2인 1조 활동지 원사: 시각장애인 보행 안내법으로 보조한다. 지원자: 눈가리개를 하고 손에 케인을 쥔다. 2) 시각장애인 역할을 하는 사람이 눈을 가리면 방향감각을 유지하지 못하도록 그 자리에서 자유롭게 맴돌게 한다.(코끼리코도 좋은 방법이다) 3) 교대로 각각의 역할 체험을 한다. 2. 시각장애인 지원방법 강구 체험 후엔 토의를 통해 시각장애인의 어려움을 이해하며 바람직한 활동 지원방법을 강구한다. 3. 유의사항 1) 시각장애인의 실생활을 경험하는 만큼 경건한 마음으로 임한다 2) 안전사고의.. 2021. 7. 2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