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발달장애인 유형별 의사소통 시 고려할 점
1) 지적장애
- 미리 이용자의 지적 수준을 파악(판단)하여 어느 정도 이해했는지 확인해야 한다.
- 대화 주제는 한 번에 한 가지만 한다.
- 구체적인 단어를 사용한다.
- 이용자의 말을 기다릴 준비가 되어야 하고 이용자가 말을 할 땐 주의 깊게 들어야 한다
- 응답을 들어야 할 때는 선택의 폭을 좁혀 질문한다.
- 사진, 그림 등의 자료를 활용한다.
2) 자폐성 장애
- 비언어적 행동을 해석할 수 있도록 노려한다
- 복잡하고 어려운 문장을 사용하지 않는다
- 의사소통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짧고 간단한 대화를 한다.
- 그림이나 사진 등을 활용한다
- 항상 인내심을 가져야 한다
2. 활동보조 시 기본적인 지원방법
- 쉬운 말로 설명한다
: 이용자가 알고 있는 단어의 수준에 맞추어 설명해야 이용자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반복하여 설명하고, 연습한다
: 모든 지운 활동에서 반복설명과 반복연습은 변화를 가져오는 좋은 방법이다
-세분화하여 쉬운 것부터 시작한다
: 활동지원사가 지원해주다가 후에 이용자 직접 스스로 하도록 지원하면 이용자의 성취도나 만족도가 높아진다/
- 필요시 사진, 비디오 등의 시각적 청각적 자료를 활용한다.
: 이용자의 흥미를 이끌어내 이용자가 흥미 있게 참여하고 직접 해보고 싶은 자발적 욕구를 끌어낼 수 있다.
반응형
'장애인활동지원 및 체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애인활동지원사 제공서비스 구분 및 세부내용 (0) | 2021.08.03 |
---|---|
심폐소생술 간단 정리 (0) | 2021.08.02 |
청각장애인 무음영상체험 (0) | 2021.07.30 |
지체장애인 식사체험 (0) | 2021.07.30 |
시각장애인 보행 체험하는 법 (0) | 2021.07.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