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애인활동지원 및 체험

발달장애인 활동보조 시 기본적인 지원방법

by 살면서 얻은 모든 지식 2021. 7. 31.
반응형

1. 발달장애인 유형별 의사소통 시 고려할 점

1) 지적장애

- 미리 이용자의 지적 수준을 파악(판단)하여 어느 정도 이해했는지 확인해야 한다. 

- 대화 주제는 한 번에 한 가지만 한다.

- 구체적인 단어를 사용한다.

- 이용자의 말을 기다릴 준비가 되어야 하고 이용자가 말을 할 땐 주의 깊게 들어야 한다

- 응답을 들어야 할 때는 선택의 폭을 좁혀 질문한다.

- 사진, 그림 등의 자료를 활용한다.

 

2) 자폐성 장애

- 비언어적 행동을 해석할 수 있도록 노려한다

- 복잡하고 어려운 문장을 사용하지 않는다

- 의사소통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짧고 간단한 대화를 한다.

- 그림이나 사진 등을 활용한다

- 항상 인내심을 가져야 한다

 

2. 활동보조 시 기본적인 지원방법

- 쉬운 말로 설명한다

: 이용자가 알고 있는 단어의 수준에 맞추어 설명해야 이용자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반복하여 설명하고, 연습한다

: 모든 지운 활동에서 반복설명과 반복연습은 변화를 가져오는 좋은 방법이다

-세분화하여 쉬운 것부터 시작한다

: 활동지원사가 지원해주다가 후에 이용자 직접 스스로 하도록 지원하면 이용자의 성취도나 만족도가 높아진다/

- 필요시 사진, 비디오 등의 시각적 청각적 자료를 활용한다.

: 이용자의 흥미를 이끌어내 이용자가 흥미 있게 참여하고 직접 해보고 싶은 자발적 욕구를 끌어낼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