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

역류성 식도염 유발하는 행동과 예방

by 살면서 얻은 모든 지식 2021. 11. 15.
반응형

역류성 식도염은 위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해 식도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흉골 뒤쪽이 뜨겁거나 가슴 쓰림 등의 증상이 있다. 역류성 식도염이 지속되면 궤양 등이 생겨 몸에 좋지 않다. 

알게 모르게 사람들은 역류성 식도염을 유발하는 행동들을 많이 하고 있다. 지금부터라도  역류성 식도염을 유발하는 행동들과 예방 습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시다.

 

 

역류성 식도염을 유발하는 행동 4가지

 

1. 엎드려 자기

엎드려 잠을 자면 위장에 압박을 주어 위장운동을 방해하고 소화불량, 역류성 식도염을 유발한다

 

2. 매운 음식 자주 먹기

스트레스를 매운 음식으로 푸는 사람들이 있다. 매운 음식은 위장 점막을 손상시켜 염증을 유발하고 역류성 식도염을 악화시키기 때문에 가급적 줄이는 것을 권한다.

 

3. 하루 한잔 이상 커피 마시기

카페인은 위와 식도를 연결하는 위 식도 괄약근을 이완시켜 위산이 역류하면서 속 쓰림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업무 집중, 스트레스 해소 등으로 커피를 마시는 것은 좋지만 역류성 식도염이 지속적으로 나타난다면 커피를 우선적으로 끊으시는 것을 권합니다.

 

4. 식사 후 바로 운동하기

식사 후 음식물이 위에 가득 찬 상태에서 격한 운동을 하면 위장에 강한 압력이 가해지는데 이로 인해 위산과 음식물이 식도로 역류하게 됩니다. 식사를 마치고 최소 2시간은 지나서 운동을 해야 위에 무리가 가지 않습니다.

 

반응형

역류성 식도염에 좋은 행동 3가지

 

1. 왼쪽으로 누워 자기

위는 몸의 왼쪽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왼쪽으로 누워 잠을 자면 위산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합니다.

 

2. 감초차 마시기

감초는 식약처에서 인증한 위 보호 기능성 원료입니다. 글라브리딘이라는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여 위 점막 보호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3. 소화효소 먹기

위장운동을 촉진하는 소화효소는 음식물 소화를 돕고 과도한 위산 분비를 억제시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