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애인활동지원 및 체험

심폐소생술 간단 정리

by 살면서 얻은 모든 지식 2021. 8. 2.
반응형

심폐소생술의 중요성

- 심정지 발생 후 4분 정도 경과하면 뇌손상이 발생하는데 심정지를 목격한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작하면 뇌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경우가 시행하지 않은 경우보다 약 2배 이상 높은 생존율을 보인다. 

  • 심폐소생술 간단 요점 정리
  1. 심정지 확인: 무반응, 무호흡 or 심정지 호흡
  2. 심폐소생술 순서: 가슴압박-> 기도유지-> 인공호흡
  3. 가슴압박 중단: 최소화해야 한다( 중단이 불가피할 경우 10초 이내로)
  4. 기도유지: 머리 젖히고 턱 들기
  5. 가슴압박 속도: 분당 100회 이상 120회 이하
  6. 가슴압박 깊이: 성인-5~6cm,소아-가슴 깊이의 1/3 (5cm정도),영아- 가슴깊이의 1/3 (4cm 정도)
  7.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지 않았거나 할 수 없는 일반인 구조자는 인공호흡하지 않아도 됨. 하지만 심정지로부터 시간이 많이 경과한 경우 인공호흡을 시행해야 한다.(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의 비율은 30:2를 권장)
  8.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