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심폐소생술의 중요성
- 심정지 발생 후 4분 정도 경과하면 뇌손상이 발생하는데 심정지를 목격한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작하면 뇌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경우가 시행하지 않은 경우보다 약 2배 이상 높은 생존율을 보인다.
- 심폐소생술 간단 요점 정리
- 심정지 확인: 무반응, 무호흡 or 심정지 호흡
- 심폐소생술 순서: 가슴압박-> 기도유지-> 인공호흡
- 가슴압박 중단: 최소화해야 한다( 중단이 불가피할 경우 10초 이내로)
- 기도유지: 머리 젖히고 턱 들기
- 가슴압박 속도: 분당 100회 이상 120회 이하
- 가슴압박 깊이: 성인-5~6cm,소아-가슴 깊이의 1/3 (5cm정도),영아- 가슴깊이의 1/3 (4cm 정도)
-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지 않았거나 할 수 없는 일반인 구조자는 인공호흡하지 않아도 됨. 하지만 심정지로부터 시간이 많이 경과한 경우 인공호흡을 시행해야 한다.(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의 비율은 30:2를 권장)
반응형
'장애인활동지원 및 체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위생의 중요성 및 올바른 손 씻기 (0) | 2021.08.04 |
---|---|
장애인활동지원사 제공서비스 구분 및 세부내용 (0) | 2021.08.03 |
발달장애인 활동보조 시 기본적인 지원방법 (0) | 2021.07.31 |
청각장애인 무음영상체험 (0) | 2021.07.30 |
지체장애인 식사체험 (0) | 2021.07.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