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마음가짐2 바람직한 의사소통을 위한 자세 1. 공감하며 경청한다 : 대화를 할 때 우리는 상대의 눈을 적절히 맞추며 들어야 한다. 이는 상대방에게 내가 말을 경청하고 있음을 알릴 수 있다. 하지만 상대방을 너무 뚫어지게 쳐다보면 상대방이 부담스러워하고,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또 좋은 대화를 위해 적당한 의성어와 몸짓을 적절히 섞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2. 열린 마음을 가진다 : 대화 상대가 듣기 싫은 말(비판 등)을 하면 듣기도 전에 마음을 닫아놓고 듣는 척 할 때가 종종 있을 것이다. 하지만 때로는 나를 응원, 지지해주는 말보다 비판하는 말이 유익할 때가 있다. 따라서 마음을 열고 비판하는 말도 받아들일 줄 알아야 한다. (상대가 상황과 관련 없이 비인격적으로 나를 깍아내리려고 하는 말과 잘 구분해야 한다.) 3. 상대방을 존중하는 마음.. 2021. 8. 5. 신입 활동지원사의 의사소통 장애인 활동보조 서비스는 불쌍하고 약한 장애인을 도와주는 것이 아닌 활동지원사와 이용자가 함께 협동해서 이용자가 사회활동을 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때문에 활동지원사는 초조해하거나 조급해하지 말고 상대방을 너그럽게 배려하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 1. 신입활동지원사에게 필요한 마음가짐 - 항상 어떻게 해야 할지를 이용자에게 물어보는 것을 습관화한다 - 이용자의 지시적(명력적) 언어 표현은 활동지원사와 이용자가 계약을 맺은 관계이기 때문에 이용자의 당연한 권리다. - 실수를 인정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그래야 ㅏ중에 더 큰 실수로 이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 사회복지직 경력이 있다고 해서 활동보조 서비스 경력이 많은 것은 아니다. 항상 신입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 장애인은 불쌍한 사람이 아니라 .. 2021. 8. 4.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