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공감하며 경청한다
: 대화를 할 때 우리는 상대의 눈을 적절히 맞추며 들어야 한다. 이는 상대방에게 내가 말을 경청하고 있음을 알릴 수 있다.
하지만 상대방을 너무 뚫어지게 쳐다보면 상대방이 부담스러워하고,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또 좋은 대화를 위해 적당한 의성어와 몸짓을 적절히 섞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2. 열린 마음을 가진다
: 대화 상대가 듣기 싫은 말(비판 등)을 하면 듣기도 전에 마음을 닫아놓고 듣는 척 할 때가 종종 있을 것이다. 하지만 때로는 나를 응원, 지지해주는 말보다 비판하는 말이 유익할 때가 있다. 따라서 마음을 열고 비판하는 말도 받아들일 줄 알아야 한다. (상대가 상황과 관련 없이 비인격적으로 나를 깍아내리려고 하는 말과 잘 구분해야 한다.)
3. 상대방을 존중하는 마음을 가진다
: 자신의 생각 가치관 선입견을 내세우지 않고 상대방과의 대화를 존중하면서 그 말을 이해해야 한다
4. 조언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를 인정한다
: 장애인이 신체적, 사회적 약자라고 하여 조언을 구하지 않았음에도 지속적으로 조언을 하는 것은 좋지 않다. 인간은 모두 동등하기 때문에 조언보다는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존중하고 인정해주어야 한다.
5. 자신의 내면 상태를 자각한다
: 우리는 이미 확립된 가치관, 사고방식, 신념 등을 가지고, 감정을 느끼며 대화를 하기 때문에 가치관, 사고방식, 신념, 감정 상태는 대화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대화하는 동안은 감정을 포함한 내면 상태를 자각하여야 한다.
반응형
'장애인활동지원 및 체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활동지원사] 개인위생지원(목욕) (0) | 2021.08.06 |
---|---|
개인위생 지원 서비스 방법 ( 구강청결 ) (0) | 2021.08.06 |
신입 활동지원사의 의사소통 (0) | 2021.08.04 |
신변처리 지원원칙 (0) | 2021.08.04 |
손위생의 중요성 및 올바른 손 씻기 (0) | 2021.08.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