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애인활동지원 및 체험

시각장애인 활동지원시 유의사항

by 살면서 얻은 모든 지식 2021. 9. 3.
반응형

1. 이동지원서비스

[보행]

-  팔이나 케인을 끄는 행동은 불쾌함을 줄 수 있고, 안전에도 문제가 있으므로 삼가야 한다.

- 활동 지원사는 이용자가 자신의 팔꿈치 위를 잡게 하고, 반 보 앞서가는 것이 원칙이다.

- 뒤로 돌 때는 팔을 잡은 채로 같이 돌지 말고 이용자에게 먼저 방향을 바꿔야 하니 잠깐 팔을 놓으라고 얘기한 후 앞으로 얼굴을 마주 보면서 방향을 바꾸고 다시 팔을 잡도록 한다.

- 좁을 통로에 들어갈 때는 손을 활동 지원사의 어깨에 얹고 뒤에서 따라오도록 한다

- 계단을 오르내릴 때는 계단 앞에서 잠시 멈추거나 팔꿈치를 살짝 뒤로 밀며 계단이 있음을 알린다. 계단의 전체적인 높이나 상태 등을 간단히 설명하고 이용자가 준비가 되었으면 천천히 올라가거나 내려간다.

- 표면이 고르지 않은 길을 걸을 때는 활동 지원사가 길의 상태를 간단히 설명해 주고 안전한 쪽으로 이용자가 선 다음 걸어야 한다.

- 이용자를 혼자서 잠깐 기다리게 할 때는 안전을 위하여 벽이나 기둥 가까이 서 있도록 한다. 활동 지원사의 부재나 이동 상황을 이용자가 명확하게 알 수 있도록 한다

 

[외출]

- 외출 전 외출 장소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고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 외출 중에는 현재 위치를 중간중간 알리고 근처에 큰 건물이나 상가 등을 알려준다.

- 길의 모든 상황을 상세히 설명하며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것들을 설명해 준다

- 약속 장소를 정할 때는 시각장애인이 인지하고 있는 장소를 선택해야 하기 때문에 이용자에게 묻는 편이 좋다.

 

[위치 파악]

- 이용자 중심으로 설명

- 시계방향으로 설명

- 거리는 수치화해서 설명

- 가까운 거리는 직접 손을 대어준다

 

[버스와 택시, 지하철 이용]

- 활동 지원사가 먼저 탑승한 후 이용자가 뒤따라오도록 하며, 승차 후엔 반드시 손잡이를 잡게 한다.

- 하차 시 미리 출입구로 나와 기둥을 잡고 있는 것이 안전하다.

- 택시를 탈 때는 한 손을 문에, 한 손을 차량 윗 부분에 대어주면 스스로 탈 수 있다. 스스로 문을 열 수 있게 차량의 손잡이에 손을 대어주는 것을 선호하는 사람도 있다. 문을 닫을 때는 반드시 미리 말해야 한다.

 

2. 가사지원 서비스

[식사하기]

- 전체적으로 식탁 위에 놓여있는 반찬들을 이용자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차례차례  알려준다.

- 위치를 정해놓은 것은 항상 그 위치에 놓도록 한다.

- 식당 같은 곳에서는 시중을 들듯 지나치게 이용자의 식사를 거들거나 눈여겨보고 있는 것은 실례다.

 

[시장 보기]

-  구입할 재료 등을 미리 생각하고 메모한다.

: 이용자는 물건을 보면서 구매여부를 정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 시장에서 돌아온 후 장본 재료나 물건들은 이용자가 직접 정리하도록 한다

 

3. 신체활동 지원 서비스

[집안에서의 활동]

-  일반적으로 시각 장애인들은 주거공간이나 익숙한 장소에서는 거의 모든 활동을 자력으로 수행한다

-  허락 없이 물건을 옮겨서는 안되며, 쓰고 난 물건은 반드시 원래 자리에 두어야 한다.

: 익숙한 자기 집이라도 시각장애인은 물건의 위치를 변경하면 어려움을 겪기 때문 

- 복도나 통행로에 물건을 놓아두지 않는다

- 출입문은 완전히 열어두거나 완전히 닫아두어야 한다.

 

[의자 앉기]

- 이용자의 한 손은 의자에 다른 한 손은 식탁이나 책상에 닿게 해주면 바르게 앉을 수 있다

- 의자만 있을 때는 한 손은 등받이에 한 손은 팔걸이나 앉는 부분에 대어준다

- 의자 등받이가 없을 때는 반드시 알려주어야 한다

 

4. 사회활동 지원 서비스

[사회참여 활동]

- 시각장애인이 분위기에 적응할 수 있게 돕는다

: 사람이 모인 곳에서 뜻하지 않았던 웃음이나 탄성이 터져 나오면 무엇 때문에 그러는지 이용자에게 설명해준다.

- 장례식에 참석할 때에는 조의를 표하는 절차가 기독교식인지 전통적인 방식인지 상주에게 조의를 표하는 방법은 간단한 목례인지 절하는 것인지 귓속말로 해주어야 한다.

특히, 예를 표하는 과정에서 활동지원사는 이용자가 혼자 남지 않도록 주의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