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활동지원4

[활동지원사] 식사지원 (비경구섭취) 삼키기 기능이 어려운 이용자를 대상으로 구강과 식도가 아닌 다른 경로로 음식물을 위에 도달하게 하는 방법으로 대표적인 비경구 섭취로는 비위관(코를 통해 위로 음식물을 연결하는 관) 사용이 있다. 1. 준비물 - 영양주머니,컵,물,일회용장갑,주사기.처방된 영양액 2. 방법 - 이용자에게 위관영양의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 손을 씻는다 - 준비된 음식을 따뜻하게 데운다 - 이용자를 앉히거나 침상머리를 올린다 - 영양주머니에 처방된 양만큼 음식을 채운다 - 주사기로 내용물을 흡인하여 튜브의 위치를 확인하고 동시에 위 안에 남아있는 음식양을 확인한다. 잔류량이 많으면 의료인에게 알려야 하고 흡인한 내용물은 체액과 전해질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다시 주입한다 - 튜브의 끝을 막고 주사기를 연결한후 물 20~30c.. 2021. 8. 11.
[활동지원사] 용변 지원 용변 지원은 이용자들이 수치스러움이나 정서적 불편을 느끼지 않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활동지원사는 이용자의 용변 의사표현을 알고 있어야 하고, 이용자 혼자 용변처리를 얼마나 할 수 있는지 파악해야 한다. 또 필요한 경우 용변 상태를 관찰하여 전문가나 관계자에게 알려야한다. 유의사항 1. 용변 전 - 용변 의사 표현 유무를 관찰 - 안절부절못하지 못하거나 허리를 들썩이는 등의 행동 관찰 필요 - 용변 의사표현을 하지 않거나 못하는 이용자의 경우 용변 간격도 파악해야 한다 2. 용변 중 - 배뇨나 배변을 위한 운동능력이나 보조용품의 사용능력이 있는지 파악해야 한다 - 용변 중 통증, 불편을 호소하는지 확인한다 - 요나 변의 배변 상태를 관찰한다 3. 용변 후 - 용변의 색깔 변화나 혼탁 유무를 살피고,.. 2021. 8. 8.
청각장애인 무음영상체험 같은 영상을 소리 들으면서, 소리를 듣지 않으면서 시청하고 소리 없이 살아간다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지원방법과 의사소통방법을 찾는다. 1. 준비물 영상(약 5~10분 분량으로 자막이 없어야 하고 소리가 많이 나오는 영상일수록 좋다) 2. 진행방법 1) 음소거를 한상태에서 준비된 영상물을 시청 2) 영상물 내용 추측해보기 3) 동일한 영상을 소리와 함께 다시 보면서 소리가 없을 때와 비교하기. 3. 체험 후 토론 소리 없이 영상을 시청하면 실제 영상의 내용을 얼마나 다르게 이해했는지에 대해 대화를 나누며 청각 자애인과의 의사소통방법과 효과적인 지원방법에 대해 토의한다. 4. 유의할 점 영상미에 몰입이 될 수 있는 액션 영화류는 피하고, 배우들 간의 대화가 많이 나오는 영상을 시청해야 한다. 2021. 7. 30.
시각장애인 보행 체험하는 법 시각장애인 보행체험을 함으로써 시각장애인에 대한 지원방법을 강구하고, 시각 장애인의 일상생활을 이해할 수 있다. 사전 준비물로 눈가리개와 케인(시각장애인 흰 지팡이)을 준비한다. \1 1. 진행방법 1) 역할 : 2인 1조 활동지 원사: 시각장애인 보행 안내법으로 보조한다. 지원자: 눈가리개를 하고 손에 케인을 쥔다. 2) 시각장애인 역할을 하는 사람이 눈을 가리면 방향감각을 유지하지 못하도록 그 자리에서 자유롭게 맴돌게 한다.(코끼리코도 좋은 방법이다) 3) 교대로 각각의 역할 체험을 한다. 2. 시각장애인 지원방법 강구 체험 후엔 토의를 통해 시각장애인의 어려움을 이해하며 바람직한 활동 지원방법을 강구한다. 3. 유의사항 1) 시각장애인의 실생활을 경험하는 만큼 경건한 마음으로 임한다 2) 안전사고의.. 2021. 7. 2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