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장애의 종류와 특징
좀 더 집중적으로 살펴볼 유형 ( 장애인 활동 지원 서비스 이용자가 많은 순으로 5가지 선정하였다.)
- 지체장애
- 지체장애란 보통 눈으로 장애인임이 드러나는 외부 신체장애를 의미
- 선천적 원인: 바이러스 감염, 유전적 문제
- 후천적 원인: 각종 질병이나 교통사고 산재
- 범위: 매우 넓음
1) 척수손상 장애: 대다수 휠체어를 사용함
2) 절단 장애: 팔다리가 절단된 겨우
3) 관절 장애:특정 관절이 강직 또는 약화, 마비된 경우이다
4) 지체 기능장애: 팔다리가 있어도 전체 또는 일부를 움직일 수 없거나 움직이더라도 자유롭게 조절되지 않는 경우
5) 변형: 척추나 팔다리가 변형되어 척추가 굽거나 팔다리가 짧거나 체구가 작은 왜소증이 나타난다.
- 뇌 병변 장애
- 1999년 개정된 [장애인 복지법] 시행령에서 기존의 지체장애에서 별도로 분리되어 새로운 장애범주로 추가됨
- 정의
: 뇌성마비, 외상성 뇌 손상, 뇌졸중 등 뇌의 기질적 병변으로 인하여 발생한 신체적 장애로
- 보행이나 일상생활의 동작 등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 사람.
- 시각장애
- 정의: 시각 기능의 현저한 저하에 의해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에 제약이 있는 사람.
- [장애인복지법]의 '장애 정도 판정 지침'에서는 시각장애를 시력감퇴에 의한 장애와 시야결손에 의한 시야결손 장애로 구분하고 있다.
- 지적장애
- 우리나라 법률에서의 정의 : 정신 발육이 항구적으로 지체되어 지적 능력의 발달이 불충분하거나 불완전하고 자신의 일을 처리하는 것과 사회생활에 적응하는 것이 상당히 곤란한 사람.
- 지적 능력의 결함에 따라 말과 언어의 구사에 어려움이 있고, 주의 집중력 및 단기 기억력이 부족하다. 이에 따라 적응 능력의 부족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 자폐성 장애
- 장애인복지법에서의 정의
: 소아기 자폐증 비전형적인 자폐증에 따른 언어, 신체 표현, 자기 조절, 사회 적응 기능 및 능력의 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아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
- 자폐성 장애인 중 일부는 강박적인 행동을 보인다.=> 당황하지 말고 긍정적인 관심을 갖고 응대할 필요가 있다.
- 환경에 보다 적응할 수 있도록 시간을 주고 기다리는 것이 필요.
2. 주의사항
- 장애인을 대할 때 장애의 특성에 매몰되지 말고 우리 주변의 사람들을 대하듯이 해야 한다.
- 장애인들도 비장애인들과 똑같은 기본적인 생리적 사회적 정서적 요구를 가지고 있다.
- 장애인들은 여러 가지 면에서 개인차가 있으며 모든 장애인들이 똑같은 지적, 신체적, 사회정서적, 심리운동적 특성을 갖지 않고 개별적인 특성을 갖는다는 점 명심.
- 앞에 정리한 장애로 인해 갖는 어려움들이 장애인을 특정 짓는 기준이 되고 그에 따라 고정관념을 갖는 것 경계
반응형
'장애인활동지원 및 체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조공학기기 지원 정보 (0) | 2021.11.10 |
---|---|
[퍼온 글] 2022년 활동지원 수가 16,300원으로 인상해달라 (0) | 2021.11.03 |
지체장애와 지체장애인 지원 (0) | 2021.10.06 |
지적장애인 활동보조 (0) | 2021.10.05 |
시각장애의 이해와 활동보조 (0) | 2021.10.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