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시각장애2

시각장애의 이해와 활동보조 시각장애의 이해 시각장애인이란 시력 기능의 현저한 저하 또는 소실에 의해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에 제약이 있는 자로 정의 안경, 콘택트렌즈를 포함한 모든 종류의 시력교정 법을 이용하여 나쁜 눈의 교정시력이 0.02 이하면 시각장애인으로 규정 시각장애인의 상당수는 명암을 구분할 수 있는 광각이 있거나 희미하게 색깔을 구분할 수 있으며 잔존 시각 기능을 활용하여 살아갈 수 있다. 실제로 요즘 의술이 발달하여 전혀 보이지 않는 전맹은 많이 줄어들고 있고, 약간은 볼 수 있는 저시력자가 증가하고 있다. 시각장애에 잘 적응한 장애인은 신변처리나 가사 이동 및 외출 사회화 등에 있어 나름대로 큰 불편을 느끼지 않는다. 장애의 원인 외상 및 중독, 질환 유전적 요인들을 들 수 있으며, 오늘날에는 과거에 많았던 전염성.. 2021. 10. 4.
시각장애인 활동지원시 유의사항 1. 이동지원서비스 [보행] - 팔이나 케인을 끄는 행동은 불쾌함을 줄 수 있고, 안전에도 문제가 있으므로 삼가야 한다. - 활동 지원사는 이용자가 자신의 팔꿈치 위를 잡게 하고, 반 보 앞서가는 것이 원칙이다. - 뒤로 돌 때는 팔을 잡은 채로 같이 돌지 말고 이용자에게 먼저 방향을 바꿔야 하니 잠깐 팔을 놓으라고 얘기한 후 앞으로 얼굴을 마주 보면서 방향을 바꾸고 다시 팔을 잡도록 한다. - 좁을 통로에 들어갈 때는 손을 활동 지원사의 어깨에 얹고 뒤에서 따라오도록 한다 - 계단을 오르내릴 때는 계단 앞에서 잠시 멈추거나 팔꿈치를 살짝 뒤로 밀며 계단이 있음을 알린다. 계단의 전체적인 높이나 상태 등을 간단히 설명하고 이용자가 준비가 되었으면 천천히 올라가거나 내려간다. - 표면이 고르지 않은 길을 .. 2021. 9. 3.
728x90
반응형